첫째, 나의 GPA가 다른 고등학교 학생의 GPA와
직접적으로 비교되지 않는다는 점이다.
많은 지원자들이 이 점을 혼동한다. GPA는 특정 교육환경 안에서 개인의 학업적 성취를 보여주는 점수이다. 그러므로 다른 고등학교 학생과 나의GPA를 비교하는 것은 마치 사과와 오렌지를 비교하는 것과 같다. 예를 들어 A 고등학교는 다수의 AP, IB, 아너 수업을 제공하는 반면 B 고등학교는 한정된 AP 수업만 제공하거나 고급과목을 아예 제공하지 않는다.
또한 AP, 아너, 레귤러 수업에 부여하는 가산점도 고등학교의 정책에 따라 다르다. 그러므로 A 학교의 학생과 B 학교의 학생이 똑같이 가산점 없는(unweighted) GPA에서 4.0을 받는다고 해도 가산점 있는(weighted) GPA는 달라질 수 있다. 입학사정관들은 고등학교마다 수업의 강도와 커리큘럼, 성적을 매기는 방침이 다른 것을 잘 알고 있다. 그래서 고등학교의 ‘맥락’(context) 안에서 학생의GPA를 심사한다.